카테고리 없음

주식 투자 기본 상식 PER PBR

카스팟 2023. 8. 31. 23:3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슈GPT입니다.

오늘 주식 투자의 기본인 기업 분석을 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 PER과 PBR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PER과 PBR 다들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PER은 주가수익비율, PBR은 주가 순자산 비율을 뜻하는데요.

그럼 PER과 PBR 하나씩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PER 이란?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주당 수익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영문으로는 Price Earnings Ratio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PER이 낮은 경우 해당 기업은 수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그 기업은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구요.

PER이 높은 기업은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기업의 상황에 따라 PER의 비교는 상대적으로 달라지기도 합니다.

앞으로 미래에 사장되는 업종의 기업은 당장 PER이 낮더라도 앞으로 수익이 자연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PER은 올라가고, 반대로 앞으로 유망한 업종은 PER이 높더라도 오히려 더 수익이 늘어날 것을 예상해 투자 가치가 더 높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PER은 주가/주당 순이익 이기도 하지만,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나눠서 구할 수도 있습니다.

동종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기업의 미래성장률이나 영업위험, 재무 위험의 차이, 회계 처리방법의 차이등으로 PER의 차이가 나게 되는데요. 

이 경우 주가가 같더라도 주당 이익이 높은 쪽이 더 신뢰받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E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저평가 되어 있기 때문에 매수하기 좋다는 것 또한 모든 기업에 적용하기는 위험하기도 합니다.

위에서 이야기했다시피 미래의 성장성이나 회사 내부의 문제, 기타 알지못하는 리스크로 인해서 기업이 저평가 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PBR 이란?

PBR은 주가순자산 비율입니다.

영문으로 Price to Book-Value Ratio 이구요.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에 거리되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면 A라는 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 순자산이 5,000원이라면, PBR은 10,000/5,000으로 A기업의 PBR은 2가 됩니다.

단순히 보면 A기업은 주가가 순자산의 2배로 거래된다고 볼 수 있죠.

PBR이 중요한 이유는 A기업이 문을 닫는다고  했을때 주당 회수 할 수 있는 돈을 의미하거든요.

만약 주가와 주당 순자산이 1이라면 그회사는 회사가 문을 닫아도 주식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돈을 모두 회수 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거든요.

위에 예를 든 A기업이라면 투자한 금액에 절반을 회수 할 수 있겠죠.

물론 아주 단순히 생각할 때요.

일반적으로 공장처럼 시설 투자업은 비교적 PBR이 낮을 수 있구요.

IT기업처럼 공장이나 시설의 투자가 비교적 적은 기업은 PBR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PBR도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기업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비교해야 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는 그 회사의 종합적인 평가이므로 주주 소유분을 초과한 부분은 모두 그 회사의 잠재적인 프리미엄이 되기 때문에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을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PER과 PBR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요.

기본적인 지표이긴 하지만, 같은 잣대로 모든 기업에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위에 이야기한 대로 기업의 미래 성장성이나 기업의 내부상황에 따라 충분히 상대적이라는 이야기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기에 가장 먼저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